맨위로가기

블라디미르 보예보츠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블라디미르 보예보츠키는 대수기하학과 대수적 위상수학 분야의 연구로 2002년 필즈상을 수상한 러시아 출신 수학자이다. 그는 모스크바 대학교에서 학부를 중퇴하고 미국으로 건너가 하버드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보예보츠키는 스킴에 대한 호모토피 이론을 도입하고, 모티빅 코호몰로지를 공식화하여 밀너의 추측을 증명하는 데 기여했다. 또한, A¹-호모토피 이론을 발표하고, 블로흐-카토 추측의 증명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유니벨런트 기초를 연구했다. 2017년 뇌동맥류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스웨스턴 대학교 - 램 차란
    인도 출신 경영 컨설턴트이자 작가인 램 차란은 하버드 경영대학원 박사 출신으로 GE, 뱅크 오브 아메리카 등에 컨설팅을 제공했으며, 《실행》 등 베스트셀러 저술 및 비즈니스 감각 대중화에 기여하여 더 타임스 선정 세계 50대 경영 사상가이자 잭 웰치가 존경하는 컨설턴트로 알려져 있다.
  • 노스웨스턴 대학교 - 마크 그래노베터
    마크 그래노베터는 "약한 연결의 힘" 이론과 "내재성" 개념을 제시하여 사회학에 큰 영향을 미친 미국의 사회학자로, 현재 스탠포드 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미국 국립 과학원 회원으로 선출되고 톰슨 로이터 인용 영예상을 수상했다.
  • 소련의 수학자 - 그리고리 페렐만
    러시아 수학자 그리고리 페렐만은 푸앵카레 추측과 기하화 추측을 증명했음에도 불구하고 필즈상과 밀레니엄 문제 상금을 거부하며 은둔 생활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소련의 수학자 - 알렉산드르 프리드만
    알렉산드르 프리드만은 일반 상대성이론에 기반한 팽창 우주 모델을 제시하여 현대 우주론의 기초를 세운 러시아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로, 양수, 영, 음의 곡률을 가진 세 가지 우주 모델을 제시한 그의 연구는 빅뱅 이론과 정상 우주론 모두의 표준 모델이 되었으며 유체역학과 기상학 분야에도 영향을 미쳤다.
  • 대수기하학자 - 고다이라 구니히코
    고다이라 구니히코는 일본의 수학자로, 대수기하학 분야에서 변형 이론, 대수곡면 분류, 고다이라 차원, 고다이라 소멸 정리 등의 업적을 남겨 1954년 필즈상을 수상했고 프린스턴 고등연구소와 여러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수학 대중화에도 기여했다.
  • 대수기하학자 - 라울 보트
    라울 보트는 1923년 헝가리에서 태어나 전기 공학을 전공하고 수학자로서 모스 이론을 활용하여 보트 주기성 정리를 증명했으며, K-이론 연구에 기여하고, 베블런상, 스틸상, 울프상을 수상했다.
블라디미르 보예보츠키
기본 정보
2011년의 블라디미르 보예보츠키
이름블라디미르 알렉산드로비치 보예보츠키
로마자 표기Beulladimir Allekseandurobichi Boyebocheuki
러시아어 표기Владимир Александрович Воеводский
일본어 표기ウラジーミル・ヴォエヴォドスキー
출생일1966년 6월 4일
출생지소비에트 연방 모스크바
사망일2017년 9월 30일
사망지미국 뉴저지주 프린스턴
국적러시아, 미국
거주지러시아, 미국
연구 분야
분야수학
소속
직장프린스턴 고등연구소
학력
모교모스크바 대학교, 하버드 대학교
박사 지도교수다비트 카즈단
업적
알려진 업적모티브 코호몰로지
수상
수상필즈상 (2002년)

2. 이력

보예보츠키는 소비에트 연방 모스크바에서 태어나 모스크바 대학교에서 학부 과정을 밟았으나 졸업하지 못했다.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 1992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데이비드 카즈단 교수의 지도로 박사학위를 받았다.[13] 일리노이주 에반스턴에 위치한 노스웨스턴 대학교를 거쳐 프린스턴 고등연구소에서 근무했다.

안드레이 수슬린, 에릭 프리드랜더와 함께 ''Cycles, Transfers and Motivic Homology Theories''라는 책을 썼다.[13]

2. 1. 초기 생애와 교육

보예보츠키는 소비에트 연방 모스크바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알렉산데르 보예보츠키(Aleksander Voevodsky)는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산하 핵 연구소의 고에너지 렙톤 연구소장이었고, 어머니 타티아나(Tatyana)는 화학자였다.[7]

모스크바 대학교에 다녔지만 수업에 출석하지 않고 학업 성적이 부진하여 졸업장 없이 제적되었다.[7] 1학년 때, 지도교수 조지 샤밧(George Shabat)은 그에게 알렉산더 그로텐디크(Alexander Grothendieck)가 CNRS에 제출한 지 몇 달 전의 "프로그램 개요(Esquisse d'un Programme)"를 건네주었다. 그는 "이 글을 읽기 위한 유일한 목적으로" 프랑스어를 배우기 시작했고, 그 글에 언급된 몇 가지 주제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1]

여러 편의 독립적인 논문 발표 후, 지원서조차 제출하지 않고 정식 대학 학위도 없이 추천을 받아 1992년 미국 하버드 대학교에서 데이비드 카즈단(David Kazhdan) 교수의 지도로 수학 Ph.D. 학위를 받았다.[7] 그 후, 미국 일리노이주 에반스턴에 위치한 노스웨스턴 대학교에서 근무하다가 프린스턴 고등연구소로 옮겨갔다.

2. 2. 학문적 경력

보예보츠키는 소비에트 연방 모스크바에서 태어나 모스크바 대학교에서 학부를 마친 후, 미국으로 건너가서 1992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데이비드 카즈단 교수의 지도로 박사학위를 받았다.[13] 그 후, 미국 일리노이주 에반스턴에 위치한 노스웨스턴 대학교에서 근무하다가 프린스턴 고등연구소로 옮겨갔다.

노스웨스턴 대학교의 안드레이 수슬린,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의 에릭 프리드랜더와 함께 ''Cycles, Transfers and Motivic Homology Theories''라는 책을 썼다.[13]

보예보츠키의 연구는 대수기하학대수적 위상수학의 교차점에 있었다. 파비앵 모렐과 함께 스킴에 대한 호모토피 이론을 도입했다. 그는 또한 현재 정확한 형태로 여겨지는 모티빅 코호몰로지를 공식화하고, 이 새로운 도구를 사용하여 체의 밀너 K-이론을 그 에탈 코호몰로지와 관련짓는 밀너 추측을 증명했다.[2] 이러한 업적으로 그는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제24회 국제 수학자 회의에서 필즈상을 수상했다.[3]

1998년 그는 베를린의 국제 수학자 회의에서 "A1-호모토피 이론"이라는 제목의 기조 강연을 했다.[4]

2002년부터 보예보츠키는 프린스턴, 뉴저지의 고등연구원 교수를 역임했다.

2009년 1월, 앙리 푸앵카레 연구소에서 열린 알렉산더 그로텐디크 기념 회의에서 보예보츠키는 완전한 블로흐-카토 추측의 증명을 발표했다.

같은 해, 그는 단체집합에서 마르틴-뢰프 타입 이론의 유니벨런트 모델을 구성했다. 이는 타입 이론의 중요한 발전과 보예보츠키가 그의 말년에 연구했던 새로운 수학의 유니벨런트 기초 개발로 이어졌다. 그는 유니벨런트 아이디어를 사용하는 Coq 라이브러리인 "UniMath"를 개발했다.[7][5]

2016년 4월 예테보리 대학교는 보예보츠키에게 명예 박사 학위를 수여했다.[6]

3. 업적

보예보츠키는 대수기하학대수적 위상수학의 교차점에서 모티빅 코호몰로지 이론, 블로흐-카토 추측 증명, 유니벨런트 기초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2002년 밀너 추측을 해결한 공로로 필즈상을 수상했고, 2016년 4월에는 예테보리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6]

알렉산더 그로텐디크의 모티브(Motif)에 관한 주요 업적은 다음과 같다.

업적
모티빅 호모토피(Motivic Homotopy) 이론 전개
혼합 모티브(Mixed Motif) 복체로 이루어진 삼각 범주(圏) 이론 제시
혼합 테이트 모티브(Mixed Tate Motif)에 관한 추측 해결
모티빅 코호몰로지(Motivic Cohomology)와 에탈 코호몰로지(Etale Cohomology) 연구를 통한 블로흐-카토 추측(Bloch-Kato conjecture)의 부분적 해결
밀너 추측(Milnor K군에서 Galois Cohomology로의 심볼 사상이 동형 사상임) 해결



보예보츠키는 보예보츠키(Voevodsky), 보에보도스키(Boevodsky), 보에보츠키(Boevotsky) 등으로 표기되기도 한다.

3. 1. 모티빅 호모토피 이론

파비앵 모렐과 함께 보예보츠키는 스킴에 대한 호모토피 이론을 도입했다. 그는 또한 현재 정확한 형태로 여겨지는 모티빅 코호몰로지를 공식화하고, 이 새로운 도구를 사용하여 체의 밀너(Milnor) K-이론을 그 에탈 코호몰로지와 관련짓는 밀너의 추측(Milnor's conjecture)을 증명했다.[2] 이러한 업적으로 그는 베이징(北京), 중국에서 열린 제24회 국제 수학자 회의에서 필즈상을 수상했다.[3]

1998년 그는 베를린의 국제 수학자 회의에서 "A1-호모토피 이론"이라는 제목의 기조 강연을 했다.[4] 그는 (안드레이 수슬린(Andrei Suslin)과 에릭 M. 프라이드랜더(Eric M. Friedlander)와 함께) 모티빅 코호몰로지 이론을 자세히 다룬 "Cycles, Transfers and Motivic Homology Theories"를 공저했다.

2009년 1월, 앙리 푸앵카레 연구소(Institut des Hautes Études Scientifiques)에서 열린 알렉산더 그로텐디크(Alexander Grothendieck) 기념 회의에서 보예보츠키는 완전한 블로흐-카토 추측(Bloch–Kato conjecture)의 증명을 발표했다.

Grothendieck의 모티브(Motif)에 관한 주요 업적은 다음과 같다.

  • 모티빅 호모토피(Motivic Homotopy) 이론 전개.
  • 혼합 모티브(Mixed Motif) 복체로 이루어진 삼각 범주(圏) 이론 제시.
  • 혼합 테이트 모티브(Mixed Tate Motif)에 관한 추측 해결.
  • 모티빅 코호몰로지(Motivic Cohomology)와 에탈 코호몰로지(Etale Cohomology) 연구를 통한 블로흐-카토 추측(Bloch-Kato conjecture)의 부분적 해결.
  • 밀너 추측(Milnor K군에서 Galois Cohomology로의 심볼 사상이 동형 사상임) 해결.

3. 2. 밀너 추측 증명

보예보츠키는 파비앵 모렐과 함께 스킴에 대한 호모토피 이론을 도입했다. 그는 또한 현재 정확한 형태로 여겨지는 모티빅 코호몰로지를 공식화하고, 이 새로운 도구를 사용하여 체의 밀너(Milnor) K-이론을 그 에탈 코호몰로지와 관련짓는 밀너 추측을 증명했다.[2] 이 업적으로 그는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제24회 국제 수학자 회의에서 필즈상을 수상했다.[3]

그로텐디크의 모티브(Motif)에 관한 업적 중 하나는 밀너 추측(Milnor K군에서 Galois Cohomology로의 심볼 사상이 동형 사상임)을 해결한 것이다.

3. 3. 블로흐-카토 추측 증명

1998년 베를린 국제 수학자 회의에서 "A1-호모토피 이론"이라는 제목의 기조 강연을 했다.[4] 2009년 1월, 앙리 푸앵카레 연구소(Institut des Hautes Études Scientifiques)에서 열린 알렉산더 그로텐디크(Alexander Grothendieck) 기념 회의에서 블로흐-카토 추측(Bloch–Kato conjecture)의 완전한 증명을 발표했다.[2]

보예보츠키는 모티빅 코호몰로지와 에탈 코호몰로지 연구를 통해 블로흐-카토 추측을 부분적으로 해결하였다.

3. 4. 유니벨런트 기초

2009년, 보예보츠키는 단체집합에서 마르틴-뢰프 타입 이론의 유니벨런트 모델을 구성했다. 이는 타입 이론의 중요한 발전과 보예보츠키가 말년에 연구했던 새로운 수학의 유니벨런트 기초 개발로 이어졌다. 그는 유니벨런트 아이디어를 사용하는 코크(Coq) 라이브러리인 "UniMath"를 개발했다.[7][5]

3. 5. 기타 업적

보예보츠키의 연구는 대수기하학대수적 위상수학의 교차점에 있었다. 파비앵 모렐과 함께 보예보츠키는 스킴에 대한 호모토피 이론을 도입했다. 그는 또한 현재 정확한 형태로 여겨지는 모티빅 코호몰로지를 공식화하고, 이 새로운 도구를 사용하여 체의 밀너(Milnor) K-이론을 그 에탈 코호몰로지와 관련짓는 밀너의 추측(Milnor's conjecture)을 증명했다.[2] 1998년 그는 베를린의 국제 수학자 회의에서 "A1-호모토피 이론"이라는 제목의 기조 강연을 했다.[4] 그는 안드레이 수슬린(Andrei Suslin)과 에릭 M. 프라이드랜더(Eric M. Friedlander)와 함께 모티빅 코호몰로지 이론을 자세히 다룬 "Cycles, Transfers and Motivic Homology Theories"를 공저했다.

2009년 1월, 앙리 푸앵카레 연구소(Institut des Hautes Études Scientifiques)에서 열린 알렉산더 그로텐디크(Alexander Grothendieck) 기념 회의에서 보예보츠키는 완전한 블로흐-카토 추측(Bloch–Kato conjecture)의 증명을 발표했다.

2009년, 그는 단체집합에서 마르틴-뢰프 타입 이론(Martin-Löf type theory)의 유니벨런트 모델을 구성했다. 이는 타입 이론의 중요한 발전과 보예보츠키가 그의 말년에 연구했던 새로운 수학의 유니벨런트 기초(univalent foundations) 개발로 이어졌다. 그는 유니벨런트 아이디어를 사용하는 Coq 라이브러리인 "UniMath"를 개발했다.[7][5]

2016년 4월 예테보리 대학교는 보예보츠키에게 명예 박사 학위를 수여했다.[6]

Grothendieck의 모티브(Motif)에 관한 주요 업적은 다음과 같다.

업적
모티빅 호모토피(Motivic Homotopy) 이론 전개
혼합 모티브(Mixed Motif) 복체로 이루어진 삼각 범주(圏) 이론 제시
혼합 테이트 모티브(Mixed Tate Motif)에 관한 추측 해결
모티빅 코호몰로지(Motivic Cohomology)와 에탈 코호몰로지(Etale Cohomology) 연구를 통한 블로흐-카토 추측(Bloch-Kato conjecture)의 부분적 해결
밀너 추측(Milnor K군에서 Galois Cohomology로의 심볼 사상이 동형 사상임) 해결



보예보츠키(Voevodsky), 보에보도스키(Boevodsky), 보에보츠키(Boevotsky) 등으로 표기되기도 한다.

4. 수상 및 서훈

2002년에 대수기하학에서 새로운 코호몰로지 이론을 전개하고, 특히 대수적 K-이론에서 밀너의 추측을 해결한 공로로 필즈상을 수상했다.[1]

Grothendieck의 모티브(Motif)에 관한 주요 업적은 다음과 같다.


  • 모티빅 호모토피(Motivic Homotopy) 이론 전개.
  • 혼합 모티브(Mixed Motif) 복체로 이루어진 삼각 범주(圏) 이론 제시.
  • 혼합 테이트 모티브(Mixed Tate Motif)에 관한 추측 해결.
  • 모티빅 코호몰로지(Motivic Cohomology)와 에탈 코호몰로지(Etale Cohomology) 연구를 통한 블로흐-카토 추측(Bloch-Kato conjecture)의 부분적 해결.
  • 밀너 추측(Milnor K군에서 Galois Cohomology로의 심볼 사상이 동형 사상임) 해결.[1]

5. 저서


  • Vladimir Voevodsky영어, Andrei Suslin영어, Eric M. Friedlander영어 (2000). 《Cycles, transfers, and motivic homology theories영어》. Annals of Mathematics Studies영어 (영어) 143. 프린스턴 대학교 출판부. ISBN 9781400837120. [13][9]
  • Carlo Mazza영어, Vladimir Voevodsky영어, Charles A. Weibel영어 (2011). 《모티빅 코호몰로지 강의 노트》. Clay Mathematics Monographs영어 (영어) 2. 미국수학회. ISBN 9780821853214. [10][11]

6. 사망

보예보츠키는 2017년 9월 30일, 51세의 나이로 뉴저지 주 프린스턴 자택에서 뇌동맥류로 사망했다.[7][8] 슬하에 두 딸, 디아나 야스민 보예보츠키와 나탈리아 달리아 샬라비가 있었다.[7]

참조

[1] 웹사이트 Univalent Foundations http://www.math.ias.[...] Institute for Advanced Study
[2] 논문 Voevodsky's proof of Milnor's conjecture
[3] 문서 The second medal at the same congress was received by Laurent Lafforgue
[4] 논문 In: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gress of Mathematicians
[5] 웹사이트 UniMath: This coq library aims to formalize a substantial body of mathematics using the univalent point of view https://github.com/U[...] Univalent Mathematics 2017-10-07
[6] 웹사이트 Fields medalist Vladimir Voevodsky new honorary doctor at the IT Faculty http://itufak.gu.se/[...] 2016-06-30
[7] 뉴스 Vladimir Voevodsky, Revolutionary Mathematician, Dies at 51 https://www.nytimes.[...] 2017-10-06
[8] 웹사이트 IAS: Vladimir Voevodsky, Fields Medalist, Dies at 51 https://www.ias.edu/[...] 2017-09-30
[9] 논문 Review of ''Cycles, transfers, and motivic homology theories'' by Vladimir Voevodsky, Andrei Muslin, and Eric M. Friedlander http://www.ams.org/j[...]
[10] 웹사이트 Lecture notes on motivic cohomology http://bookstore.ams[...]
[11] 웹사이트 Review: ''Lecture Notes on Motivic Cohomology'' http://euro-math-soc[...] European Mathematical Society
[12] 웹사이트 Vladimir Voevodsky, Fields Medalist, Dies at 51 https://www.ias.edu/[...]
[13] 서적 Cycles, transfers, and motivic homology theori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